본문 바로가기
리뷰🍀후기🍀공유🍀나눔

교사 18호봉 월급과 연가 일수, 정확한 기준 총정리

by 고그마그마 2025. 9.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선생님들이 궁금해하는 교사 호봉 체계와 연가 일수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교사 18호봉 월급 (2025년 기준)

2025년 교육부 고시 교사 봉급표에 따르면,

  • 18호봉 교사의 기본 봉급은 약 3,131,921원입니다.
  • 여기에 각종 수당(정근수당, 명절휴가비, 교직수당, 담임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등)이 추가되므로 실제 실수령액은 더 올라갑니다.

👉 핵심 포인트: 호봉이 높아질수록 기본급이 상승하고, 경력 인정 및 자격 취득에 따라 특별승급으로 호봉이 빨리 오를 수 있습니다.


2. 정기승급일과 특별승급

  • 정기승급일은 개인별로 다릅니다.
    • 예를 들어, 어떤 교사는 10월 1일이 정기승급일일 수 있고, 다른 교사는 3월 1일일 수 있습니다.
    • 이는 임용일·경력 인정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 특별승급은 자격 취득 시 가능합니다.
    • 정교사 1급 취득 → 1호봉 상승
    • 석사, 박사 학위 취득 시에도 추가 승급 가능

👉 따라서, 신규 발령 후 학교에서는 1년차 교사일지라도, 이미 인정된 경력과 자격 덕분에 18호봉이 될 수 있습니다.


3. 교사 연가 일수 (근속연수 기준)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연가 일수입니다.

  • 연가는 **호봉이 아니라 근속연수(재직연수)**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교사 신규 임용 시: 11일
  • 1~3년차: 17일
  • 6년 이상 근속: 21일

👉 즉, 18호봉 교사라도 근속연수가 1년차라면 연가는 17일이 맞습니다. 호봉이 높아도 근속연수가 짧으면 연가가 적게 주어지는 것이죠.


4. 호봉 vs 근속연수 차이 정리표

구분호봉 (급여 기준)근속연수 (재직 기준)
의미 급여 산정 기준 (경력·자격 포함) 실제 학교 재직 햇수
산정 임용 시 경력 인정 + 정기승급 + 특별승급 실제 근무 연수, 휴직기간 제외
활용 월급·수당 계산 연가 일수, 승급 산정
예시 18호봉 교사 학교 근무 1년차 (연가 17일)

👉 정리하면, 호봉 = 급여용 숫자, 근속연수 = 연가·승급용 숫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5. 예비교사와 신규교사에게 드리는 팁

  • 발령 시 본인의 정기승급일을 확인해 두세요. 매년 호봉이 언제 오르는지 알 수 있습니다.
  • 경력 인정을 최대한 반영받아야 첫 호봉이 높게 책정됩니다.
  • 연가는 호봉과 별개이므로, 실제 근속연수에 맞춰 산정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마무리

오늘은 교사 18호봉 월급과 연가 일수를 중심으로, 호봉과 근속연수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렸습니다.

  • 18호봉 월급: 약 313만 원 (기본급)
  • 연가: 근속연수 기준, 1년차는 17일
  • 호봉은 급여용, 근속연수는 연가·승급용

이 글이 교사 생활을 준비하거나 현재 교직에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